티스토리 뷰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 13일 종료되면서 본격적인 정시 지원 준비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채점 분석 결과, 정시 지원 전략, 그리고 입시설명회 일정까지 수험생들에게 필요한 모든 정보를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2026학년도 수능 가채점 분석 결과
전반적인 난이도 평가
올해 수능은 전년도(2025학년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국어 영역
- 난이도: 전년 대비 상당히 어려움 (2024학년도 9월 모평 수준)
- 표준점수 최고점: 147점 (전년 139점 대비 8점 상승)
- 1등급 표준점수: 133점 (전년 131점)
- 선택과목별 격차
-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최고점 149점 (역대급 상승)
- 화법과 작문: 상대적으로 평이
- 특징: 독서 영역의 지문 난도가 높았으며, '킬러 문항' 배제 기조 속에서도 텍스트 구조와 개념 파악 능력으로 변별력 확보
수학 영역
- 난이도: 전년 대비 다소 어려움
- 표준점수 최고점: 141점 (전년과 유사)
- 1등급 표준점수: 131점 (전년과 동일)
- 선택과목별 분석
- 미적분: 상대적으로 높은 난도
- 확률과 통계: 1등급 예상 원점수 92점 (전년 95점)
- 기하: 평이한 수준
- 특징: 계산량은 적었으나 고난도 문항의 계산 과정이 복잡해 시간 안배가 중요했음
영어 영역
- 난이도: 매우 어려움 (역대급)
- 1등급 비율: 약 3~4.5% 추정 (역대 최저 수준)
- 전년 비교: 2025학년도 수능 6.22%보다 훨씬 낮음
- 특징: 독해 난도가 높았으며, 빈칸 추론, 글의 순서 배열 등 전통적 고난도 유형에서 변별력 확보
탐구 영역
사회탐구
- 사회문화: 표준점수 최고점 71점 (전년 66점)
- 생활과 윤리: 표준점수 최고점 70점 (전년 77점)
- 과목 간 표준점수 격차로 인한 유불리 발생
과학탐구
- 생명과학Ⅰ: 표준점수 최고점 74점 (전년 70점)
- 물리학Ⅰ: 70점 (전년 67점)
- 지구과학Ⅰ: 69점 (전년 72점)
- '사탐런' 현상: 자연계 중위권 수험생이 사회탐구 선택 증가
🎯 2026학년도 정시 지원 전략
1. 주요 변화 사항
- 응시 인원 증가: 황금돼지띠(2007년생)로 전년 대비 약 3만 명 증가
- 의대 정원 원복: 의대 정시 경쟁 심화 예상
- 무전공학과 선발인원 증가: 새로운 지원 기회 확대
- 수능 필수 응시과목 제한 완화: 과목 선택의 자유도 증가
2. 성적대별 합격선 예상 (원점수 기준, 300점 만점)
서울권 주요 대학 인문계열
- 서울대 경영대학: 284점 (전년 동일)
- 연세대·고려대 경영대학: 280점
- 성균관대 글로벌경영: 279점 (전년 276점 대비 3점 상승)
- 서강대 경영학부: 265~268점
- 한양대 정책학과: 267점
서울권 주요 대학 의예과
- 서울대 의예과: 294점 (전년과 동일)
- 연세대 의예과: 293점 (전년 292점 대비 1점 상승)
- 고려대 의과대학: 288점 (전년 290점 대비 2점 하락)
- 성균관대·가톨릭대·울산대 의예: 291~292점
지역별 주요 대학
광주권
- 서울대 인문: 266점, 자연: 265점
- 전남대: 인문 238점, 자연 232점
- 조선대: 인문 221점, 자연 219점
전남권
- 전남대 의예: 일반전형 288점, 지역인재 286점
- 조선대 의예: 일반전형 287점, 지역인재 285점
대구·경북권
- 경북대 경영학부: 238점
- 경북대 영어교육과·행정학과: 233점
- 영남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행정학과: 210점대 초반
3. 핵심 지원 전략
국어 점수가 결정적 변수
- 국어 표준점수가 수학보다 9점 높아 정시의 절대 변수로 작용
- 국어 고득점자가 유리한 구조
선택과목별 유불리 체크
- 국어: 언어와 매체 선택자가 화법과 작문 대비 유리
- 수학: 미적분 선택자 표준점수 유리
- 탐구: 과목별 표준점수 격차가 크므로 신중한 검토 필요
영어 등급의 중요성
- 1등급 비율이 매우 낮아 영어 1등급 여부가 당락 결정
- 절대평가이지만 대학별 환산 점수 차이로 영향력 큼
군별 지원 전략
- 가군, 나군, 다군 각각 신중하게 선택
- 상향-적정-안정 3단계 지원 원칙 준수
- 각 대학의 환산 방식 차이 반드시 확인
📅 중요 일정 및 일정표
수능 성적 발표 및 정시 일정
일정 날짜 비고
| 수능 성적 통지 | 2025년 12월 5일(금) 09:00 | 온라인 확인 가능 |
| 정시 원서접수 | 2025년 12월 29일(월) ~ 31일(수) | 3일간 |
| 가군 전형 시작 | 2026년 1월 5일(일) | |
| 나군 전형 시작 | 2026년 1월 13일(월) | |
| 다군 전형 시작 | 2026년 1월 21일(화) | |
| 합격자 발표 | 2026년 2월 2일(월)까지 | |
| 합격자 등록 | 2026년 2월 3일(화) ~ 5일(목) | 3일간 |
| 미등록 충원 마감 | 2026년 2월 13일(금) 22:00 |
🎓 입시설명회 일정 및 장소
전국 주요 입시설명회 정보
서울권
1. 송파구 정시 대비 입시설명회
- 일시: 2025년 12월 12일(목) 오전 10시
- 장소: 송파구청 대강당
- 강사: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
- 신청: 11월 19일부터 송파런 누리집 선착순 접수 (400명)
- 내용:
- 2025학년도 수능 결과 분석
- 2026학년도 정시모집 주요 변화
- 대학별 군 배치 및 환산 방식
- 합격선 전망 및 계열별 지원 전략
- 1:1 진학 컨설팅: 12월 20~27일 운영
2. 동작구 정시전형 입시설명회
- 일시: 2025년 12월 13일(토) 오전 10시 30분 ~ 낮 12시 30분
- 장소: 동작구청 4층 대강당
- 강사: 이만기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장
- 신청: 11월 12일 오전 10시부터 구청 누리집 (선착순 400명)
- 문의: 동작입시지원센터 (02-820-9201)
3. 서대문구 정시 합격 전략 설명회
- 일시: 2025년 12월 13일(토) 오후 2시
- 장소: 서대문구청 6층 대강당
- 강사: 이재진 대학미래연구소장
- 신청: 선착순 300명, 무료
- 정시 집중 상담: 12월 9일부터 약 3주간 (저녁 9시까지 연장 운영)
4. 중랑구 대학별 입시설명회 (수시 관련)
- 기간: 6월 16일 ~ 30일
- 장소: 방정환교육지원센터
- 참여 대학: 수도권 주요 19개 대학 입학사정관 직접 참여
경기권
수원특례시 대학입시박람회
- 지역 맞춤형 입시 정보 제공
- 홈페이지: http://edusuwon.joongboo.com/
전북권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대면 진학 상담
- 기간: 12월 22일 ~ 29일
- 장소:
- 전주 진로진학센터: 평일 오후 4시~10시, 주말 오전 9시~오후 6시
- 전주·군산·익산·정읍·남원·김제교육지원청: 12월 27일 오전 9시~오후 6시
- 예약: 전북진로진학센터 누리집
광주권
광주시교육청 입시설명회 및 상담
- 가채점 분석 설명회: 11월 20일
- 실채점 분석 설명회: 12월 11일
- 정시모집 대비 1대1 대면 상담: 12월 19일 ~ 23일
전남권
전라남도교육청 정시 상담
- 5개 거점 상담센터 운영
- 학교별 전문 상담 제공
- 가채점 자료 및 실채점 분석 제공
💡 수험생 및 학부모를 위한 팁
1. 가채점 후 해야 할 일
✅ 즉시 진행할 사항
- 가채점 결과로 성적대 파악
- 수시 대학별 고사 응시 여부 결정
- 정시 지원 가능 대학 범위 확인
✅ 12월 5일 성적 발표 전까지
- 여러 입시 기관의 배치표 비교 분석
- 관심 대학의 전년도 입시 결과 확인
- 대학별 환산 방식 연구
✅ 성적 발표 이후
- 정확한 표준점수 및 백분위 확인
- 입시설명회 적극 참여
- 1:1 진학 상담 예약
- 최종 지원 전략 수립
2. 정시 지원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체크할 사항
- 대학별 영역별 반영 비율 확인
- 탐구 영역 과목 수 및 반영 방법
- 가산점 여부 (과학Ⅱ 과목 등)
- 영어 등급별 환산 점수 차이
- 한국사 등급별 가산점
⚠️ 피해야 할 실수
- 단순 표준점수 합만으로 지원 결정
- 과거 커트라인만 참고하는 오류
- 군별 중복 지원 실수
- 등록 기간 착오
3. 상담 활용 전략
📌 상담 전 준비물
- 수능 성적표
- 모의고사 성적 추이
- 관심 대학 리스트
- 구체적인 질문 사항 정리
📌 상담에서 물어볼 내용
- 본인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범위
- 군별 배치 전략
- 수시 이월 인원 발생 가능성
- 작년 대비 올해 예상 변화
- 추가모집 가능성
📌 최종 체크리스트
성적 발표 전 (11월~12월 초)
- [ ] 가채점 결과 입력 (여러 입시 기관)
- [ ] 수시 대학별고사 응시 결정
- [ ] 입시설명회 일정 확인 및 신청
- [ ] 관심 대학 모집요강 숙지
성적 발표 후 (12월 5일~)
- [ ] 정확한 성적 확인
- [ ] 입시설명회 참석
- [ ] 1:1 진학 상담 받기
- [ ] 최종 지원 대학 결정
원서 접수 기간 (12월 29~31일)
- [ ] 대학별 지원 서류 확인
- [ ] 전형료 납부 방법 확인
- [ ] 원서 접수 완료
- [ ] 접수 확인증 출력
🎯 맺음말
2026학년도 수능은 전년 대비 어렵게 출제되었지만, 정확한 분석과 전략적 접근으로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어 영역의 표준점수가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선택과목별 유불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채점 결과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12월 5일 정확한 성적 발표를 기다리면서 입시설명회와 진학 상담을 통해 철저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정시 원서접수까지 약 한 달의 시간이 남아 있으니, 이 기간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내시길 응원합니다!
💬 도움이 되는 정보
-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https://www.adiga.kr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s://www.kice.re.kr
- 각 지역 교육청 진로진학센터 홈페이지 참고
📢 문의처
- 전북진로진학센터
- 광주시교육청 진학정보분석팀
- 각 지역 교육지원청 입시상담센터
여러분의 성공적인 대입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본 자료는 2024년 11월 기준 각종 입시 기관 및 교육청의 가채점 분석 자료를 종합한 것으로, 실제 성적 발표 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지원 전략은 반드시 전문 상담을 통해 수립하시기 바랍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능 최저
- 2026 수시
- 대학어디가
- 정시 지원
- 수능 준비물
- 2025 정시
- 면접 준비
- 수능 등급컷
- 수시
- 입시 전략
- 수능
- #2026수시전략 #내신등급컷 #대입전략 #서울대학종 #지방국립대수시 #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시지원팁 #2026대입
- 2026 정시
- 수능 유의사항
- 2026 수능
- 정시 전략
- 등급별 대학
- 정시
- 수능 난이도
- 수도권 대학
- 수능 점수
- 수능 시럼일
- 2026 대입
- 정시 지원 전략
- 대입 전략
- 수시 전략
- 등급컷
- 정시 합격 전략
- 대학 지원 전략
- 수시 정시 전략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