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부산대학교 소개
부산대학교는 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국립 거점대학으로, 지역 인재 양성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의학·약학·공학·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국적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특히 지역인재 전형의 비중이 큰 것이 특징입니다.
📌 2026학년도 주요 변경사항
- ✅ 모집단위 신설 및 폐지
- ✅ 면접 배수 변경
- ✅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
- ✅ 전형별 모집인원 조정
📅 2026학년도 입시 일정
수시모집
구분 일정
| 원서 접수 | 2025년 9월 초 |
| 학생부교과 합격자 발표 | 2025년 9월 말 |
| 학생부종합 1단계 합격자 발표 | 2025년 10월 초 |
| 학생부종합 면접 | 2025년 10월 중순 |
| 최종 합격자 발표 | 2025년 12월 중순 |
| 등록 | 2025년 12월 중순 |
정시모집
구분 일정
| 원서 접수 | 2025년 12월 29일 ~ 12월 31일 (3일간) |
| 합격자 발표 | 2026년 2월 초 |
| 등록 | 2026년 2월 초~중순 |
📊 2026학년도 모집인원
수시모집
전형 2026학년도 2025학년도
| 학생부교과 | 1,049명 | 997명 |
| 지역인재(교과) | 495명 | 424명 |
| 학생부종합 | 약 1,000명 | 유사 |
📈 증가: 학생부교과 전형 52명 증가, 지역인재 전형 71명 증가
🎓 수시모집 전형 분석
1️⃣ 학생부교과 전형
전형 방법
📌 일괄합산: 학생부 교과 100%
📌 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완화됨)
📌 지원자격: 국내 고교 졸업(예정)자
- 국내 고교 3개 학기 이상 성적 취득자
2025학년도 등급컷 (70%컷 기준)
자연·공학계열 상위 학과
학과 등급컷
| 의예과 | 1.15 |
| 화공생명공학과 | 1.69 |
| 전기전자공학부(전자공학) | 1.98 |
| 건축공학과 | 2.10 |
| 간호학과 | 2.22 |
| 전기전자공학부(전기공학) | 2.25 |
| 생명과학과 | 2.31 |
| 통계학과 | 2.55 |
| 기계공학부 | 2.62 |
| 정보컴퓨터공학부(인공지능전공) | 2.69 |
인문사회계열 상위 학과
학과 등급컷
| 경영학과 | 2.46 |
| 식품영양학과 | 2.65 |
| 정치외교학과 | 2.66 |
| 공공정책학부 | 2.72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2.80 |
| 사학과 | 2.86 |
| 무역학부 | 2.86 |
| 경제학부 | 2.93 |
| 심리학과 | 2.94 |
| 국제학부 | 3.05 |
사범대학 (교육계열)
학과 등급컷
| 수학교육과 | 1.96 |
| 국어교육과 | 2.23 |
| 영어교육과 | 2.26 |
| 윤리교육과 | 2.26 |
| 역사교육과 | 2.35 |
| 일반사회교육과 | 2.45 |
| 생물교육과 | 2.77 |
| 유아교육과 | 3.22 |
| 지구과학교육과 | 3.31 |
| 지리교육과 | 3.46 |
계열별 평균 등급 (2025학년도)
🔵 자연계열: 2.72등급
🔴 인문사회계열: 3.19등급
🟢 교육계열: 2.83등급
⚫ 전체 평균: 2.91등급
경쟁률
- 평균 7~11:1
- 인기 학과는 12:1 이상
2️⃣ 학생부종합 전형
전형 방법
📌 1단계: 서류평가 100% (3배수)
📌 2단계: 1단계 성적 70% + 면접 30%
📌 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평가 요소
서류평가
- 학업역량
- 전공적합성
- 인성
- 발전가능성
면접평가
- 전공적합성
- 인성
- 발전가능성
2025학년도 특징
- 학과별 경쟁률 편차가 큼
- 내신 3.4등급으로도 합격 사례 있음
- 생기부 숙지가 매우 중요
- 전공에 대한 깊이 있는 관심 표현 필수
합격 사례
예시 1: 고고학과
- 서울 비평준화 일반고
- 내신: 3.4등급
- 2차 추가 합격
- 전략: 생기부 완벽 숙지, 박물관 답사 경험 활용
예시 2: 사회복지학부
- 경기 비평준화 일반고
- 내신: 3.4등급
- 최초 합격
- 전략: 1학년부터 일관된 진로 준비
3️⃣ 지역인재 전형
특징
✅ 부산·울산·경남 소재 고교 졸업(예정)자
✅ 학생부교과 전형과 동일한 방식
✅ 2026학년도 모집인원 대폭 증가 (71명↑)
✅ 지역 학생에게 유리한 기회
📈 정시모집 전형 분석
전형 방법
📌 수능 100% (일괄합산)
📌 수능 반영영역: 국어·수학·영어·탐구(2과목)
📌 영어: 등급별 환산점수 적용
📌 한국사: 등급별 가산점
계열별 수능 반영 비율
자연계열
영역 반영 비율
| 국어 | 20% |
| 수학 | 30% |
| 영어 | 20% |
| 탐구 | 30% |
인문계열
영역 반영 비율
| 국어 | 30% |
| 수학 | 20% |
| 영어 | 20% |
| 탐구 | 30% |
영어 등급별 환산점수
1등급: 200점
2등급: 198점
3등급: 195점
4등급: 190점
5등급: 185점
6등급: 180점
7등급: 175점
8등급: 170점
9등급: 165점
🎯 2025학년도 정시 등급컷 (참고)
주요 특징
- 전체적으로 백분위 75~78점 사이에서 합격선 형성
- 표준점수 기준으로 산출 (영어는 등급 환산)
- 70%컷 기준 (실제 최종 등록자는 이보다 낮을 수 있음)
계열별 평균 수능 백분위 (70%컷 기준)
🔵 자연계열: 백분위 평균 75~78점
🔴 인문계열: 백분위 평균 74~77점
🏥 의예과: 백분위 평균 95점 이상
💊 약학과: 백분위 평균 90점 이상
인기 학과 수능 백분위 (2025 참고)
자연계열
학과 평균 백분위
| 의예과 | 95+ |
| 약학과 | 90+ |
| 화공생명공학과 | 82~85 |
| 전기전자공학부 | 80~83 |
| 기계공학부 | 78~81 |
| 컴퓨터공학 | 83~86 |
인문계열
학과 평균 백분위
| 경영학과 | 80~83 |
| 경제학부 | 77~80 |
| 심리학과 | 78~81 |
| 정치외교학과 | 76~79 |
💡 수능최저학력기준
2026학년도 주요 변경: 완화!
부산대는 2026학년도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했습니다. 이는 수험생에게 유리한 변화입니다.
학생부교과 전형 수능최저 (예시)
자연계열
국어·수학·영어·탐구(2과목) 중
3개 영역 합 7등급 이내
(변경 전: 합 6등급 이내)
인문계열
국어·수학·영어·탐구(2과목) 중
3개 영역 합 8등급 이내
(변경 전: 합 7등급 이내)
의예과
국어·수학·영어·과탐(2과목) 중
4개 영역 합 5등급 이내
⚠️ 주의: 학과별로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모집요강 확인!
📋 전형별 지원 전략
✅ 학생부교과 전형
이런 학생에게 추천
- 내신 1~3등급대 (상위 학과 기준)
- 수능최저 충족 가능한 학생
- 교과 성적이 꾸준한 학생
지원 전략
- 수능최저 충족이 핵심
- 70%가 수능최저 미충족으로 탈락
- 모의고사에서 안정적으로 충족 확인
- 3개년 입결 분석
- 최근 3년 등급컷 추이 확인
- 상승·하락 추세 파악
- 계열별 특성 고려
- 자연계열: 수학·과학 비중 높음
- 인문계열: 국어·영어 비중 높음
✅ 학생부종합 전형
이런 학생에게 추천
- 내신 2~4등급대
- 전공 관련 활동이 풍부한 학생
- 면접 준비에 자신 있는 학생
지원 전략
- 생기부 완벽 숙지
- 3년간 활동 내용 암기
- 활동 간 연결고리 정리
- 전공 적합성 강조
- 전공 관련 독서·탐구 활동
- 학과 커리큘럼 이해
- 진로 목표 명확화
- 면접 준비
- 생기부 기반 예상 질문 준비
- 시사 이슈와 전공 연결
- 모의면접 필수
- 일관성 유지
- 1학년부터 진로 방향 일관되게
- 활동의 깊이가 중요
✅ 정시 전형
이런 학생에게 추천
- 수능 성적이 우수한 학생
- 백분위 75점 이상 (중위권 학과 기준)
- 탐구 2과목 성적이 고른 학생
지원 전략
- 정확한 환산점수 계산
- 부산대는 표준점수 사용
- 영어 등급별 환산점수 확인
- 탐구 변환표준점수 적용
- 계열별 반영비율 고려
- 자연: 수학(30%) + 탐구(30%)
- 인문: 국어(30%) + 탐구(30%)
- 자신의 강점 과목 확인
- 가·나·다군 전략
- 부산대는 가군
- 나군: 경북대, 전남대 등 고려
- 다군: 안정 지원
- 추합 번호 확인
- 2024 입결의 추합 번호 참고
- 예비번호 높아도 포기 금지
🔍 학과별 선택 가이드
🏆 최상위 학과
의예과
- 수시: 내신 1.15 / 정시: 백분위 95+
- 전국 상위권 경쟁
약학과
- 수시: 내신 1.5~2.0 / 정시: 백분위 90+
- 약학대 선호도 상승세
💻 공학계열 인기 학과
전기전자공학부
- 수시: 내신 2.0~2.3 / 정시: 백분위 80~83
- 취업률 우수
컴퓨터공학 (인공지능전공)
- 수시: 내신 2.7 / 정시: 백분위 83~86
- AI 트렌드로 경쟁률 상승
화공생명공학과
- 수시: 내신 1.69 / 정시: 백분위 82~85
- 전통적 강세 학과
기계공학부
- 수시: 내신 2.62 / 정시: 백분위 78~81
- 안정적 취업률
📊 경상계열
경영학과
- 수시: 내신 2.46 / 정시: 백분위 80~83
- 부산대 최고 인기 인문 학과
경제학부
- 수시: 내신 2.93 / 정시: 백분위 77~80
- 금융·공기업 진출 강점
👨🏫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 수시: 내신 1.96
- 사범대 최고 인기
국어교육과
- 수시: 내신 2.23
- 안정적 진로
📊 경쟁률 분석
2025학년도 수시 경쟁률
학생부교과
- 평균: 7~11:1
- 최고: 의예과, 약학과 (15:1 이상)
- 최저: 일부 자연계 학과 (5:1 내외)
학생부종합
- 학과별 편차 큼
- 인기 학과: 10:1 이상
- 비인기 학과: 3:1 내외
2025학년도 정시 경쟁률
- 평균: 3~5:1
- 의예과: 10:1 이상
- 일반 학과: 2~4:1
⚠️ 주의사항 및 팁
수시 지원 시
- 수능최저 충족 가능성 현실적 판단
- 모의고사 최근 3개년 평균으로 판단
- 상향 지원 시 수능최저가 걸림돌
- 6회 지원 전략
- 상향 2개, 적정 2개, 안정 2개
- 부산대는 적정~상향으로 활용
- 지역인재 전형 적극 활용
- 부산·울산·경남 학생 유리
- 일반 전형과 별도 지원 가능
정시 지원 시
- 환산점수 정확히 계산
- 표준점수 vs 백분위 구분
- 탐구 변환표준점수 확인
- 영어 등급 관리
- 1~2등급 차이는 2점 (200점 만점 중)
- 3등급부터 격차 커짐
- 탐구 2과목 균형
- 2과목 평균으로 반영
- 한 과목만 잘해도 소용없음
- 추합 가능성 체크
- 부산대는 추합 많이 돌아감
- 끝까지 포기하지 말 것
🔗 유용한 정보
공식 사이트
🌐 부산대 입학처: https://go.pusan.ac.kr
📞 입학 상담: 051-512-0311
📧 입학 문의: 부산대 입학처 이메일
입시 정보 사이트
- 대학입학정보포털 어디가
- 진학사
- 유웨이
- 메가스터디
- 내신닷컴
모집요강 확인
✅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 (6월 발표)
✅ 2026학년도 정시 모집요강 (9월 발표)
✅ 입시결과 (4~5월 발표)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부산대 학생부교과 전형의 실제 합격선은?
A. 70%컷보다 낮은 등급으로도 합격할 수 있습니다. 70%컷은 상위 30%를 제외한 나머지 합격자 중 최저 등급을 의미하므로, 실제로는 0.3~0.5등급 정도 낮은 학생도 합격합니다.
Q2. 수능최저를 충족하면 거의 합격하나요?
A. 부산대는 수능최저 충족률이 약 30% 수준입니다. 즉, 70%가 수능최저 미충족으로 탈락하므로, 수능최저만 충족하면 합격 가능성이 크게 높아집니다.
Q3. 학생부종합 전형 내신 3등급 후반도 합격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실제로 3.4등급으로 합격한 사례가 있습니다. 생기부의 전공 적합성, 활동의 깊이, 면접 준비가 잘 되어 있다면 내신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Q4. 정시에서 탐구 과목 선택이 중요한가요?
A. 매우 중요합니다. 부산대는 탐구를 변환표준점수로 반영하므로, 사탐/과탐 선택과 과목 조합에 따라 유불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유리한 조합을 선택하세요.
Q5. 지역인재 전형은 일반 전형보다 쉬운가요?
A. 지역 제한이 있어 경쟁자가 적어지므로 일반적으로 등급컷이 약간 낮습니다. 부산·울산·경남 학생이라면 적극 활용하세요.
Q6. 추가합격은 언제까지 나오나요?
A. 수시는 12월 말까지, 정시는 2월 말까지 추가합격이 나올 수 있습니다. 부산대는 추합이 많이 돌아가는 편이므로 끝까지 포기하지 마세요.
Q7. 부산대 vs 경북대, 어디가 더 유리한가요?
A. 전공과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공학·자연계는 비슷한 수준이고, 의학·약학은 부산대가 약간 높습니다. 거주 지역과 학과 특성을 고려해 선택하세요.
Q8. 2026학년도 수능최저 완화, 얼마나 영향이 있나요?
A. 완화 폭이 1등급 차이이므로, 합격선이 0.2~0.3등급 정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상향 지원 시 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 합격을 위한 체크리스트
수시 준비
- [ ] 내신 등급 확인 (최근 입결과 비교)
- [ ] 수능최저 충족 가능성 점검
- [ ] 생기부 전공 적합성 점검 (종합 전형)
- [ ] 면접 준비 계획 수립
- [ ] 6회 지원 전략 수립
- [ ] 모집요강 정독
정시 준비
- [ ] 가채점 점수로 환산점수 계산
- [ ] 2025 입결과 비교 분석
- [ ] 가·나·다군 지원 전략 수립
- [ ] 탐구 과목 변환표준점수 확인
- [ ] 추합 가능성 확인
- [ ] 원서 접수 준비 (12월 말)
🌟 합격을 향한 응원의 메시지
부산대학교는 지역 거점 국립대학으로서 우수한 교육 환경과 취업률을 자랑합니다. 특히 공학, 자연과학, 의학 분야에서 전국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6학년도 수능최저 완화는 수험생에게 기회이자 도전입니다. 완화된 만큼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으니, 철저한 준비로 합격의 영광을 쟁취하시기 바랍니다!
수시는 준비한 만큼, 정시는 점수만큼!
모든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능 유의사항
- 수능 시럼일
- 수도권 대학
- 2026 수능
- 대학어디가
- 자사고
- 수시 전략
- 수능 점수
- 등급별 대학
- 수능
- 수능 준비물
- 2026 대입
- 정시 합격 전략
- 2025 정시
- 정시 전략
- 정시
- 대입 전략
- 수시
- 입시 전략
- 정시 지원 전략
- 자기소개서
- 수능 최저
- 수시 정시 전략
- 정시 지원
- 면접 준비
- 고교학점제
- 수능 등급컷
- 등급컷
- 수능 난이도
- 수시 경쟁률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