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6학년도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 여러분을 위해 최신 수시 경쟁률과 수능 가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시 배치표를 종합 정리해드립니다. 올해는 황금돼지띠 수험생 증가로 인한 경쟁률 상승과 의과대학 정원 감축 등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 2026학년도 입시 주요 특징

1. 수능 응시 인원 대폭 증가

2026학년도 수능에는 총 554,174명이 응시했으며, 이는 전년도보다 31,504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2007년 황금돼지띠로 인한 출생 인구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응시자 구성

  • 재학생: 67.1% (394,252명, +33,366명 증가)
  • N수생: 32.9% (159,922명, -1,862명 감소)

2. 의과대학 정원 감축 영향

의과대학 모집 정원이 전년도 대비 1,508명 감축되면서 N수생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나, 재학생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3. 선택과목 응시 패턴 변화

자연계열 교차지원 허용으로 선택과목 응시 비율에 큰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수학 영역

  • 미적분: 49.5% (전년 50.7% → 40.7%)
  • 확률과 통계: 47.3% (전년 44.8% → 55.1%) ⬆️ 급증
  • 기하: 3.2% (소폭 감소)

탐구 영역

  • 사회탐구만 응시: 59.2% (전년 49.6% → 급증)
  • 과학탐구만 응시: 22.8% (전년 39.3% → 급감)
  • 사회·과학 혼합: 18.0% (전년 11.1% → 증가)

🎯 2026학년도 수능 가채점 배치표 (원점수 기준)

최상위권 의약학계열 (국수탐 300점 만점 기준)

295점

  • 서울대 의예과
  • 연세대 의예과

291점

  • 성균관대 의예과
  • 가톨릭대 의예과

289-290점

  • 한양대, 울산대, 고려대 의예과
  • 주요 상위권 의대

285-288점

  • 중위권 의예과
  • 최상위 치의예과, 한의예과

SKY 주요 학과 예상 합격선

서울대

  • 인문계: 경영학과, 경제학과 등 최상위 사회과학 계열에서 전국 상위 0.5% 이내 필요
  • 자연계: 공과대학 최상위 학과 백분위 97% 이상 예상

연세대·고려대

  • 인문계: 경영학과, 경제학과 등 인기 학과에서 표준점수 총점 400점 근접 수준
  • 자연계: 반도체학과, 컴퓨터공학 등 인기 학과 백분위 95% 이상

주요 대학별 지원 가능 백분율 (자연계열 기준)

백분위 95% 이상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최상위 학과)
  • KAIST, POSTECH (과학기술원)

백분위 92-94%

  • 성균관대, 한양대 (공학계열 상위)
  • 서강대
  • 상위권 약학과

백분위 88-91%

  • 중앙대, 경희대 (서울)
  • 서울시립대
  • GIST, DGIST, UNIST (과학기술원)

백분위 85-87%

  • 건국대, 동국대
  • 홍익대 (공학계열)
  • 부산대, 경북대 (거점국립대)

백분위 82-84%

  •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 아주대, 광운대 (전기전자)
  • 인하대

백분위 79-81%

  • 광운대, 상명대
  • 가천대, 가톨릭대
  • 성신여대, 인천대

📈 2026학년도 수시 경쟁률 분석

최고 경쟁률 TOP 10 (의약학계열)

  1. 아주대 논술우수자 약학과: 708.2:1 (역대 최고)
  2. 중앙대 논술 약학과: 500대 1 이상
  3. 성균관대 논술우수전형 약학과: 475대 1 이상
  4. 숙명여대 논술우수자 약학부: 459대 1 이상
  5. 경희대 논술우수자 한의예과: 434대 1 이상

주요 대학 수시 경쟁률

한양대학교

  • 전체: 30.99:1 (1,897명 모집 / 58,786명 지원)
  • 의예과 논술: 287.25:1 (8명 모집 / 2,298명 지원)
  • 논술전형: 129.43:1
  • 공과대학 면접형: 46.85:1

연세대 미래캠퍼스

  • 전체: 10.48:1 (1,197명 모집 / 12,550명 지원)
  • 의예과 논술: 172.6:1 (10명 모집 / 1,726명 지원)
  • 물리치료학과: 32.5:1
  • 방사선학과: 29.33:1

성균관대학교

  • 학생부종합전형: 높은 경쟁률 유지
  • 논술우수전형: 의약학계열 중심 경쟁 심화

건국대학교

  • KU지역균형전형: 안정적인 경쟁률
  • 공학계열 선호도 상승

서울시립대학교

  • 학생부종합 I (면접형) 생명과학과: 55.38:1 (최고)
  • 논술전형: 높은 경쟁률 유지

💡 2026학년도 입시 전략 가이드

1. 정시 지원 전략

최상위권 (백분위 95% 이상)

  • SKY 및 의약학계열 도전 가능
  • 선택과목 조합에 따른 유불리 철저히 분석
  • 과학기술원(KAIST, POSTECH 등) 적극 고려

상위권 (백분위 88-94%)

  •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중앙대 등 공학계열
  • 교차지원 전략 신중하게 검토
  • 학과별 가산점 활용 전략 수립

중상위권 (백분위 82-87%)

  •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 지역거점국립대(부산대, 경북대 등) 적극 고려
  • 군별 안정/적정/상향 지원 분산

중위권 (백분위 75-81%)

  •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아주대
  • 수도권 대학 선호도 고려한 전략적 지원
  • 추가합격 가능성을 고려한 복수 지원

2. 수시 이월 인원 활용

수시 미충원 인원이 정시로 이월되므로, 12월 수시 최종 합격자 발표 후 정시 모집 인원을 재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교차지원 전략

올해부터 자연계열에서 사회탐구, 확률과 통계 선택이 가능해졌습니다.

유리한 경우

  • 사회탐구에서 높은 백분위를 받은 자연계 학생
  • 확률과 통계에서 유리한 표준점수를 받은 경우

주의사항

  • 대학별 가산점 정책 확인 필수
  • 미적분/기하 선택자 우대 정책 확인
  • 실제 입시결과 분석 후 신중한 결정

4. 백분위 vs 표준점수

중요 포인트

  • 국어, 수학: 표준점수 중심 반영
  • 탐구 영역: 백분위 환산 또는 표준점수
  • 대학별 반영 방식 차이 철저히 확인

5. 가나다군 전략 배치

가군 (안정)

  • 자신의 백분위보다 2-3% 낮은 대학
  • 합격 확률 70% 이상

나군 (적정)

  • 자신의 백분위와 유사한 대학
  • 합격 확률 50% 내외

다군 (상향)

  • 자신의 백분위보다 1-2% 높은 대학
  • 합격 확률 30% 내외

🔍 2026학년도 주요 변화 포인트

1. 영어 영역 난이도 급상승

9월 모의평가에서 영어 1등급 비율이 **4.50%**로 급감했습니다. 이는 6월 모평 19.10%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로, 영어 등급이 당락을 가르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학령인구 증가의 역설

  • 황금돼지띠로 수험생은 증가했지만
  • 정시 모집 인원은 75명만 증가
  • 실질 경쟁률 상승 불가피

3. 의대 정원 감축 영향

  • 의예과 진학 희망자의 치열한 경쟁
  • N수생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상위권 경쟁 지속
  • 치의예, 한의예, 약학계열로 분산 현상

4. 이공계 중심 서열 재편

  • 반도체학과, AI학과 등 신설 학과 인기
  • 공과대학 경쟁률 지속 상승
  • 전통적 인문계열 선호도 상대적 하락

📚 성적대별 지원 전략

최상위권 (백분위 95% 이상)

목표 대학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 KAIST, POSTECH
  • 의치한약수 계열

전략

  • 학과별 세부 반영비율 철저 분석
  • 영어 1등급 확보 여부가 핵심
  • 선택과목 조합의 유불리 정밀 계산

상위권 (백분위 88-94%)

목표 대학

  •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 GIST, DGIST, UNIST

전략

  • 공과대학 중심 지원
  • 가산점 활용 극대화
  • 군별 분산 지원으로 안정성 확보

중상위권 (백분위 82-87%)

목표 대학

  • 건국대, 동국대, 홍익대
  • 부산대, 경북대 (거점국립대)
  • 이화여대, 숙명여대

전략

  • 수도권 vs 지방국립대 선택 기준 명확히
  • 학과 선호도보다 대학 브랜드 고려
  • 추가합격 가능성 분석

중위권 (백분위 75-81%)

목표 대학

  •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 아주대, 광운대, 가천대
  • 인하대, 가톨릭대

전략

  • 4년제 대학 안정적 합격 목표
  • 학과보다는 지역과 대학 우선 고려
  • 추가모집 적극 활용 계획

⚠️ 유의사항

1. 배치표는 참고 자료일 뿐

  • 가채점 원점수 기준이므로 실제 표준점수와 차이 발생 가능
  • 12월 4일 수능 성적 발표 후 재분석 필수
  • 대학별 반영 비율 및 가산점 고려 필요

2. 수능 성적 발표 이후 행동 계획

12월 4일 (수능 성적 발표일)

  •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확인
  • 온라인 배치표 서비스 활용
  • 1차 지원 가능 대학 리스트업

12월 중순

  • 수시 이월 인원 확인
  • 최종 모집 인원 확정 후 재분석
  • 입시 전문가 상담 적극 활용

12월 29일 ~ 1월 2일 (정시 원서 접수)

  • 가나다군 전략 최종 확정
  • 원서접수 마감 직전 경쟁률 체크
  • 최종 결정 및 원서 제출

3. 최종 합격자 발표 일정

  • 1차 발표: 2026년 2월 초
  • 추가합격: 2월 중순까지 진행
  • 미등록 충원 마감: 2월 말

💪 수험생 여러분께

2026학년도 입시는 수험생 증가와 의대 정원 감축으로 전년도보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철저한 준비와 전략적인 지원으로 충분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정시 지원을 위한 체크리스트

✅ 수능 성적 정확히 확인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 대학별 반영 비율 및 가산점 파악
✅ 3개년 입시결과 분석
✅ 수시 이월 인원 확인
✅ 가나다군 안정/적정/상향 배치 전략 수립
✅ 입시 전문가 상담 받기
✅ 원서접수 마감 전 최종 경쟁률 체크

남은 기간 동안 전략적으로 준비하셔서 꼭 원하시는 대학에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참고 자료 및 입시 정보 사이트

배치표 및 합격예측 서비스

  •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adiga.kr)
  • 메가스터디 정시 합격예측
  • 진학사 합격예측
  • 종로학원 온라인배치표
  • 유웨이 모의지원

대학별 입학처

  • 각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최종 모집요강 확인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