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공계 최상위권 대학인 과학기술원(KAIST, GIST, DGIST, UNIST, KENTECH)과 POSTECH에 관심 있는 수험생들을 위해 2026학년도 입시 정보를 종합 분석해드립니다. 과학기술원은 일반 대학과는 전혀 다른 입시 시스템을 운영하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한 정보 파악이 필요합니다.
🎓 과학기술원이란?
과학기술원의 특별한 지위
과학기술원은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연구중심대학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할 하에 있습니다. 교육부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 대학과는 다른 특별한 입시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4대 과학기술원
- KAIST (한국과학기술원) - 대전
- GIST (광주과학기술원) - 광주
- 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구
- UNIST (울산과학기술원) - 울산
기타 이공계 특성화 대학
- KENTECH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나주
- POSTECH (포항공과대학교) - 포항 (사립대학)
🌟 과학기술원만의 특별한 혜택
1. 전액 또는 대폭 장학금 지원
KAIST
- 1학년(2학기 이내): 수업료 전액 지원
- 2학년 이후: 학점 2.7/4.3 이상 → 전액 지원
- 학점 2.7 미만 → 반액 지원
GIST
- 전체 학생 수업료 약 2/3 면제
DGIST
- 4년 전액 장학금 지급 (가장 파격적)
- 조건 없이 모든 학생에게 지급
UNIST
- 1학년: 학점 2.0/4.3 이상 → 전액
- 2학년 이후: 학점 2.7 이상 → 전액, 2.0 이상 → 반액
2. 무학과 선발 & 자유로운 학과 선택
- 학과 구분 없이 입학
- 1학년 말에 원하는 학과 자유롭게 선택
- 학과별 정원 제한 없음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제외)
- 1학년은 새내기과정학부에서 기초 과목 수강
3.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
- 국가 연구기관 수준의 최첨단 연구시설
- 풍부한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 해외 파견 프로그램
- 높은 수준의 생활비 및 연구비 지원
📋 2026학년도 입시의 특별한 규정
군외 모집의 엄청난 장점
과학기술원은 군외 모집으로 분류되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수시 6회 제한에 포함되지 않음
- 일반 대학 수시 6번 + 과기원 수시 지원 가능
- KAIST, GIST, DGIST, UNIST 모두 지원 가능
✅ 정시 가·나·다군 제한 없음
- 가나다군 각각 지원 + 과기원 추가 지원 가능
- 수시 합격자도 정시 지원 가능
✅ 복수 지원 및 이중 등록 가능
- 과기원과 일반대학 동시 합격 시 선택 가능
- 일반 대학은 이중 등록 금지이나 과기원은 예외
주의: POSTECH은 일반 사립대학이므로 수시 6회 제한 적용
🎯 2026학년도 수시 모집 분석
KAIST (한국과학기술원)
모집 인원: 약 815명 (전년 대비 5명 증가)
전형 구조
- Early Admission (2024년 10월 말 합격자 발표)
- 창의도전전형
- 학교장추천전형
- 서류 100%
- Regular Admission
- 일반전형
- 특기자전형
- 고른기회전형
- 1단계: 서류 평가
- 2단계: 면접 평가
- Late Admission
- 정시 수능우수자전형
2026학년도 주요 변경사항
- 반도체시스템인재전형 신설
- 반도체시스템인재Ⅰ (Early): 30명 내외, 서류 100%
- 반도체시스템인재Ⅱ (Regular): 70명 내외, 서류 40% + 면접 60%
- 삼성전자 취업 보장 계약학과
- 조기진학 제도 변경
- 조기졸업예정자: Early Admission 지원 불가
- 상급학교 조기입학자: 수시 전체 지원 불가
- 과학영재선발제도: 제한 없음 (여전히 장려)
- 특기자전형 영어 평가 강화
- 영어 능력 평가 포함
- 영어 제시문 면접 추가
2024-2025학년도 수시 경쟁률
- 평균: 7.39:1
- 학교장추천전형: 9.62:1 (최고)
- 고른기회전형: 6.14:1 (최저)
합격자 수준
- 내신 1등급대 초반
- 서울대 공대와 비슷한 수준
- 전국 최상위 0.1% 수준
GIST (광주과학기술원)
모집 인원: 약 300명
전형 구조
- 일반전형
- 지역인재전형 (광주·전남 지역)
- 고른기회전형
평가 방식
- 1단계: 서류 100%
- 2단계: 면접 평가
2024학년도 수시 경쟁률
- 일반전형: 중위권 경쟁률
- 상대적으로 낮은 경쟁률 (타 과기원 대비)
합격자 수준
- 서울대·연고대 중하위권
- 내신 1등급 중후반~2등급 초반
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모집 인원: 약 230명
전형 구조
- 일반전형
- 과학인재전형 (구 특기자전형)
- 반도체공학전형
- 고른기회전형
평가 방식
- 1단계: 서류 평가
- 2단계: 면접 평가
2024학년도 수시 경쟁률
- 평균: 19.85:1 (과기원 중 최고)
- 고른기회전형: 27.80:1 (최고)
- 반도체공학전형: 9.32:1 (최저)
- 특기자전형: 14.40:1
합격자 수준
- 연고대·성균관대·한양대 수준
- 내신 1등급대
UNIST (울산과학기술원)
모집 인원: 약 480명
- 이공계열(무학과): 410명
- 경영계열: 30명
- 반도체공학과: 40명
전형 구조
- 일반전형
- 탐구우수전형 (2025년 신설)
- 지역인재전형 (울산 지역)
- 고른기회전형
평가 방식
- 일반전형: 서류 100%
- 탐구우수전형: 서류 50% + 면접 50%
- 지역인재전형: 서류 100%
2024학년도 수시 경쟁률
- 평균: 12.46:1
- 고른기회전형: 15.53:1 (최고)
- 지역인재전형: 6.31:1 (최저)
합격자 수준
- 서성한 공대 수준
- 내신 1등급대 중후반
KENTECH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모집 인원: 약 200명
전형 구조
- 일반전형
- 고른기회전형
평가 방식
- 서류 평가 + 면접 평가
2024학년도 수시 경쟁률
- 평균: 15.38:1
- 일반전형: 15.06:1
- 고른기회전형: 18.30:1
합격자 수준
- 중상위권 이공계 대학 수준
- 내신 1~2등급대
POSTECH (포항공과대학교)
모집 인원: 370명 (학생부종합전형만)
특징
- 정시 모집 없음 (수시만 선발)
- 사립대학이므로 수시 6회 제한 적용
전형 구조
- 일반전형Ⅰ
- 일반전형Ⅱ
- 창의IT인재전형
- 반도체공학인재전형
합격자 수준
- 서울대 공대 수준
- 내신 1등급 초반
- 최상위 0.1% 이내
📊 2026학년도 정시 모집 분석
정시 모집의 특징
과학기술원의 정시는 매우 소규모로 진행됩니다.
- 4개 과기원 합계: 약 50-70명 내외
- POSTECH: 정시 모집 없음
KAIST 정시 (수능우수자전형)
모집 인원: 15명 (정원 내 10명 + 반도체 5명)
수능 반영 영역
- 국어: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중 택1
- 수학: 미적분 / 기하 중 택1
- 영어: 절대평가
- 탐구: 서로 다른 과학 교과 2과목
- Ⅰ+Ⅰ, Ⅰ+Ⅱ, Ⅱ+Ⅱ 조합 가능
- 동일 분야 선택 불가 (예: 물리Ⅰ+물리Ⅱ ✗)
- Ⅱ과목 응시 시 5% 가산점
- 한국사: 절대평가
평가 방식
- 수능 100% (표준점수 및 등급 반영)
2025학년도 경쟁률
- 88.9:1 (전년 107.4:1에서 하락)
- 10명 모집에 889명 지원
합격자 수준
- 국수탐 백분위 평균: 98% 이상
- 전 영역 1등급 필수
- 서울대 공대 수준
GIST 정시 (수능우수자전형)
모집 인원: 15명
수능 반영 영역
- 5개 영역 필수: 국어, 수학, 영어, 과탐, 한국사
- 과탐: 서로 다른 분야 2과목
- Ⅰ+Ⅰ, Ⅰ+Ⅱ, Ⅱ+Ⅱ 가능
- 동일 분야 불가 (물리Ⅰ+물리Ⅱ ✗)
- Ⅱ과목 응시 시 10% 가산점
평가 방식
- 수능 성적 + 수학·과탐 등급별 감점
2025학년도 경쟁률
- 96.93:1 (전년 123.8:1에서 하락)
- 15명 모집에 1,454명 지원
합격자 수준
- 국수탐 백분위 평균: 95% 이상
- 백분위 90점 후반대
- 연고대 공대 수준
DGIST 정시 (수능우수자전형)
모집 인원: 10명 (기초학부 5명 + 반도체 3명 + 정원외 2명)
수능 반영 영역
-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영어, 과탐 2과목, 한국사
- Ⅱ과목 응시 시 5% 가산점
평가 방식
- 수능 성적 + 출결 반영 (결석일수에 따라 감점)
2025학년도 경쟁률
- 112.1:1 (전년 59.6:1에서 급상승)
- 10명 모집에 1,121명 지원
합격자 수준
- 백분위: 95% 중반 이상
- 서강대·성균관대·한양대 공대 수준
UNIST 정시 (수능우수자전형)
모집 인원: 8명 (기초학부 5명 + 반도체 3명) *전년 15명에서 7명 감소
수능 반영 영역
- 국어, 수학(미적분/기하), 영어, 한국사
- 탐구: 서로 다른 과학 교과
- Ⅱ과목 응시 시 5% 가산점
평가 방식
- 수능 100%
2025학년도 경쟁률
- 86.2:1 (15명 모집, 1,293명 지원)
- 무학과: 103.8:1
- 반도체: 51:1
합격자 수준
- 평균 백분위: 95% 이상
- 전 영역 1등급대 필수
- 서강대·성균관대·한양대 공대 수준
💡 2026학년도 입시 전략 가이드

수시 지원 전략
1. 자기소개서 철저 준비
과학기술원은 일반대학과 달리 자기소개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AIST 자기소개서
- 수학·과학 분야의 학업 역량
- 창의성과 도전정신
- 리더십과 협업 능력
UNIST 자기소개서
- 1번: 지원 동기 및 재학 중 노력한 경험
- 2번: 입학 후 학업계획과 졸업 후 진로계획
작성 팁
- 구체적인 경험과 성과 중심
- 과학·수학 활동 상세 기술
- R&E, 과학경시대회, 심화 탐구 활동 강조
2. 면접 준비 철저히
KAIST Regular Admission
- 학업역량 면접: 수학/영어/과학 중 택1
- 적합성 면접: 서류 기반 전공적합성, 문제해결력
면접 준비 전략
- 고교 수학·과학 교과과정 완벽 이해
- 과학 개념의 응용 능력 키우기
- 제출 서류 내용 완벽 숙지
- 영어 의사소통 능력 (특기자전형)
3. 교사추천서 관리
KAIST, GIST 등은 교사추천서가 필요합니다.
- 담임교사 또는 교과 담당 교사
- 충분한 시간 여유를 두고 요청
- 본인의 강점과 활동을 미리 정리해서 전달
4. 전형 간 전략적 선택
Early Admission
- 면접 없이 서류 100%
- 빠른 합격 발표 (10월 말)
- 창의도전, 학교장추천 중 선택
Regular Admission
- 면접 통해 역전 가능
- 일반전형 vs 특기자전형 선택
- 창의도전과 일반전형 간 중복지원 가능
정시 지원 전략
1. 군외 모집 전략적 활용
과학기술원은 군외 모집이므로:
- 가나다군 + 과기원 총 4곳 지원 가능
- 수시 합격자도 정시 지원 가능
- "보험용 지원"으로 활용 가능
지원 예시
- 가군: 서울대 공대
- 나군: 연세대 공대
- 다군: 고려대 공대
- 군외: KAIST
2. Ⅱ과목 가산점 활용
과기원별 가산점
- KAIST, DGIST, UNIST: 5% 가산
- GIST: 10% 가산 (가장 높음)
Ⅱ과목 선택 전략
- Ⅱ과목이 유리한 경우: 과기원 적극 고려
- Ⅰ과목만 응시: 가산점 없어도 도전 가능
3. 최초합격 vs 추가합격
중요한 특징
- 최초합격: 의치약수권 학생들도 지원 → 매우 높은 컷
- 추가합격: 서성한 공대 수준으로 하락
전략
- 백분위 95% 이상: 적극 도전
- 백분위 92-94%: 추가합격 기대
- 백분위 90-91%: GIST, DGIST, UNIST 고려
4. 선택과목 조합 전략
수학
- 미적분 또는 기하 필수
- 확률과 통계는 지원 불가
과탐
- 서로 다른 분야 2과목 필수
- 물리+화학 조합 선호
- 동일 분야 조합 불가 (물리Ⅰ+물리Ⅱ ✗)
영어
- 1등급 필수 (절대적 기준)
- 2등급 시 크게 불리
📈 성적대별 과기원 지원 가이드

최상위권 (백분위 98% 이상)
목표 대학
- KAIST (1순위)
- POSTECH (수시)
- 서울대 공대와 비교 선택
전략
- 수시: KAIST Early + Regular 모두 지원
- 정시: 군외 활용해 서울대와 병행
- 면접 준비 철저히
상위권 (백분위 95-97%)
목표 대학
- KAIST (도전)
- GIST (적정)
- DGIST (적정)
- UNIST (안정)
전략
- 수시: 여러 과기원 분산 지원
- 정시: 추가합격 기대 가능
- Ⅱ과목 가산점 적극 활용
중상위권 (백분위 92-94%)
목표 대학
- GIST (적정)
- DGIST (적정)
- UNIST (안정)
- KENTECH (안정)
전략
- 수시 중심 전략
- 정시는 추가합격 노리기
- 면접 준비로 역전 도모
중위권 (백분위 88-91%)
목표 대학
- KENTECH (적정)
- 일반 대학 공대와 비교 선택
전략
- 지역인재전형 적극 활용
- 장학금 혜택 중점 고려
- 연구 환경 vs 대학 브랜드 저울질
🎯 과기원 vs 일반대학 선택 기준

과기원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1. 연구자의 꿈
- 대학원 진학 확실
- 연구 분야에 관심
-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활용
2. 경제적 고려
- 전액 또는 대폭 장학금
- 생활비 지원
- 경제적 부담 최소화
3. 자유로운 전공 선택
- 아직 세부 전공 미정
- 1년 동안 탐색 후 결정
- 학과 이동 자유
일반대학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1. 취업 중심
- 학부 졸업 후 바로 취업
- 대기업 선호
- 인서울 브랜드 중요
2. 대학 생활
- 다양한 전공과 교류
- 캠퍼스 문화
- 종합대학 경험
3. 지리적 요인
- 수도권 선호
- 통학 필요
- 가족과의 거리
⚠️ 2026학년도 주요 변경사항 요약

KAIST
✅ 반도체시스템인재전형 신설 (100명) ✅ 조기졸업·조기입학자 지원 제한 ✅ 특기자전형 영어 면접 추가 ✅ 정시 모집인원 5명 증원 (15명)
GIST
✅ 큰 변동 없음 ✅ 전년도 기조 유지
DGIST
✅ 특기자전형 → 과학인재전형으로 명칭 변경 ✅ 정시 모집인원 유지 (10명)
UNIST
✅ 탐구우수전형 신설 (면접 비중 증가) ✅ 정시 모집인원 7명 감소 (8명) ✅ 면접 반영비율 40% → 50%
KENTECH
✅ 신설 대학으로 점진적 확대 ✅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 합격생 조언 모음

수시 합격생 A (KAIST)
"자소서에 구체적인 수치와 성과를 넣었습니다. '물리 실험에서 오차율 5% 이내로 결과를 도출'처럼 명확하게 작성했어요. 면접에서는 제출한 서류의 모든 내용을 꼼꼼히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정시 합격생 B (GIST)
"정시 모집 인원이 적어서 최초합 컷이 엄청 높지만, 추가합격으로 많이 빠집니다. 백분위 95% 정도면 충분히 추가합격 가능성이 있어요.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기다리세요!"
수시 합격생 C (UNIST)
"지역인재전형은 경쟁률이 낮은 편입니다. 울산 지역 학생이라면 꼭 지원해보세요. 서류 100%라 내신과 세특이 중요합니다."
정시 합격생 D (DGIST)
"과탐 Ⅱ 과목을 선택하면 5% 가산점이 있어요. Ⅱ 과목이 어렵지만 가산점 덕분에 유리했습니다. 과기원 지원한다면 Ⅱ 과목 고려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과기원 여러 곳 동시 지원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KAIST, GIST, DGIST, UNIST 모두 수시 6회 제한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동시 지원 가능합니다.
Q2. 수시 합격 후 정시 지원 가능한가요?
A. 네, 과기원은 가능합니다. 일반 대학 수시 합격자는 정시 지원 불가하지만, 과기원은 군외 모집이라 타 대학 수시 합격자도 정시 지원 가능합니다.
Q3. 과기원과 일반대학 동시 합격 시?
A. 선택 가능합니다. 과기원은 이중 등록이 허용되므로 양쪽 모두 등록금을 내고 나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Q4. 내신이 불리한데 과기원 가능한가요?
A. 과기원은 내신 절대평가가 아닌 종합평가입니다. 내신이 다소 불리해도 과학·수학 활동, R&E, 면접 등에서 만회 가능합니다.
Q5. 학과를 몰라도 지원 가능한가요?
A. 네, 무학과로 입학해서 1학년 동안 탐색 후 선택합니다. 단,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별도 선발입니다.
Q6. 정시 모집이 너무 적은데 의미 있나요?
A. 정시는 소수 인원이지만 추가합격이 많이 나옵니다. 의치약수권 학생들이 초기에 빠지면서 실제 합격선은 낮아집니다.
Q7. 과기원과 서울대 중 어디가 나은가요?
A.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연구자 진로라면 과기원, 취업이나 종합대학 경험을 원한다면 서울대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Q8. 영어 2등급도 가능한가요?
A. 가능은 하지만 매우 불리합니다. 과기원은 영어 1등급을 사실상 요구하므로 영어 공부에 집중해야 합니다.
💪 최종 체크리스트
수시 지원자
✅ 자기소개서 초안 작성 (7월)
✅ 교사추천서 담당 교사 선정 및 요청 (8월)
✅ 서류 제출 서류 확인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 등)
✅ 대학별 모집요강 상세 확인
✅ 원서 접수 (9월 8-12일)
✅ 면접 준비 (고교 수학·과학 복습)
✅ 면접 일정 확인 및 대비
정시 지원자
✅ 수능 영역 확인 (미적분/기하 필수)
✅ 과탐 선택과목 전략 수립
✅ Ⅱ과목 가산점 고려
✅ 성적 발표 후 환산 점수 계산
✅ 가나다군 + 군외 4곳 지원 전략
✅ 최저/추가합격 컷 확인
✅ 원서 접수 (12월 29일~1월 2일)
🎓 마무리
2026학년도 과학기술원 입시는 일반 대학과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입니다. 특히 군외 모집의 특성을 잘 활용하면 합격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원의 가장 큰 장점
- 전액 또는 대폭 장학금
-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환경
- 무학과 선발로 자유로운 전공 선택
- 수시·정시 복수 지원 가능
-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
성공 전략 핵심
- 자기소개서에 구체적 경험과 성과 중심 작성
- 면접 준비 철저히 (수학·과학 심화)
- 정시는 추가합격까지 고려
- 군외 모집 특성 최대한 활용
과학과 연구에 진심인 학생들에게 과학기술원은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장학금 혜택까지 고려하면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리합니다.
여러분의 과학기술원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참고 사이트
- KAIST 입학처: https://admission.kaist.ac.kr
- GIST 입학처: https://www.gist.ac.kr/kr/html/sub04/040301.html
- DGIST 입학처: https://www.dgist.ac.kr/adm/
- UNIST 입학처: https://admission.unist.ac.kr
-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https://www.adiga.kr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시 전략
- 수시 경쟁률
- 2026 수능
- 수시
- 정시 지원 전략
- 입시 전략
- 수능 등급컷
- 정시 합격 전략
- 수능 유의사항
- 자사고
- 수능 시럼일
- 수능 최저
- 고교학점제
- 면접 준비
- 등급별 대학
- 정시 지원
- 대입 전략
- 등급컷
- 수능
- 자기소개서
- 수능 준비물
- 수도권 대학
- 2026 대입
- 2025 정시
- 수능 난이도
- 정시
- 수능 점수
- 수시 정시 전략
- 대학어디가
- 수시 전략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